금융 정보

파생상품 기초 - 선물과 옵션

연서회 2022. 12. 5. 19:02

정의

파생상품란 주식, 금, 달러 등 기초가 되는 자산에서 파생되어 생긴 상품

예) 삼성전자 주식을 기초 자산으로하는 선물과 옵션, 미국 달러를 기초 자산으로 하는 미국 달러 선물

 

유형

1. 계약 형태에 따른 구분

선물, 옵션, 스왑

 

2. 거래방식 및 장소에 따른 구분 

장내파생상품, 장외파생상품

기능

1. 가격변동 , 위험 회피

2. 더 많은 투자 기회

3. 새로운 금융상품 개발

 

선물거래 

개념과 특징

  • 필요한 물건이 있을 대 물건 값을 지불하고 바로 물건을 구하는 현물거래와 반대되는 개념
  • 3개월 혹은 1년 후 물건이 필요할 때, 현재 시점에서 해당 물건 값과 인도 날짜를 확정해 체결하고, 미래 약속한 날짜에 계약대로 물건과 대금을 거래하는 것
  • 거래소가 계약을 보증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결제 불이행 위험을 제거
  • 거래를 표준화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

주요 용어

  • 결제월
    • 만기가 되는 월
    • 예) 코스피200선물은 3월, 6월, 9월, 12월 과 같이 각 분기월이 결제월
  • 최종거래일
    • 파생상품 종목의 거래가 가능한 마지막 날
  • 거래승수
    • 1계약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
    • 주식 선물의 거래승수는 10으로 주식선물 1계약을 거래하면 주식 10주를 거래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음

 

옵션거래 

개념과 특징

  • 장래의 지정된 날에 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기초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것
  • 선물과 달리, 매수자가 자신의 권리행사에 대한 선택권을 가진다.
  • 종류
    • 콜옵션 : 미래의 지정된 날에 지정된 가격으로 기초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
    • 풋옵션 : 미래의 지정된 날에 지정된 가격으로 기초자산을 팔 수 있는 권리

 

주요 용어

  • 옵션 프리미엄
    • 옵션 매수자가 옵션이라는 유리한 권리를 받는 대신 매도자에게 지급하게 되는 대가
  • 행사가격
    • 옵션 매수자가 만기일에 기초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가격
    • 불리한 경우 해당 옵션을 포기할 수 있음

 

파생상품 거래절차

거래 전 이수 조건

  사전교육 모의투자
시간 1시간 이상 
(투자자 유형별 차등 적용)
3시간 이상
(투자자 유형별 차등 적용)
장소 금융투자협회 한국거래소
방법 금투협 홈페이지
(http://kifin.or.kr)
"파생상품거래 사전교육 강좌 이수 / 수료증 출력"
거래소 홈페이지
(http://tm.krx.co.kr)
또는 증권, 선물사 홈페이지

모의거래용 HTS 설치 후 모의거래 진행

 

증거금

증거금 

: 투자 상품 매수 거래를 체결하기 위해 증거로써 필요한 돈

일반개인
(선물거래 및 옵션매수 거래)
일반개인
(모든 거래)
전문개인
1,000 만원 이상
증권사 자율결정
2,000만원 이상 
증권사 자율결정
면제

 

출처

한국거래소_파생상품 기초 유튜브 영상